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MLB 선수 연봉과 복지, 연금 제도

by 스포츠 아재 2025. 4. 18.

2025년 현재, 메이저리그(MLB)는 선수 복지, 연금, 연봉 구조에서 스포츠 리그 중 가장 선진적인 시스템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연봉 상위권 선수는 연간 수백억 원을 벌며, 모든 선수는 은퇴 후 안정적인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퇴직연금, 정신 건강 프로그램, 교육 및 경력 전환 지원, 교통·식단 복지 등도 체계적으로 운영되어 현역은 물론 은퇴 이후까지 선수들의 삶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MLB

💰 MLB 선수 연봉 현황

2025년 기준 메이저리그(MLB)의 연봉 수준은 스포츠계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평균 연봉은 사상 최초로 5백만 달러를 돌파하며 약 $5,160,245, 한화로 약 69억 6,630만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ㅜ상위 50명의 선수들이 전체 연봉의 29%를 차지할 정도로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가 크지만, 기본 계약 조건과 복지 시스템이 탄탄하게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선수 생활의 안정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2025년 최고 연봉자는 LA 다저스의 쇼헤이 오타니로, 연 평균 7,000만 달러(약 945억 원)를 받고 있으며, 후안 소토는 15년간 7억 6,500만 달러의 계약으로 역대 최고 총액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위권 선수들은 전세계 광고, 개인 브랜드 계약까지 더해 연간 1억 달러 이상의 실수입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 2025년 MLB 연봉 TOP 10 (USD & KRW)

순위 선수 구단 연봉 (USD) 연봉 (KRW)
1 쇼헤이 오타니 LA 다저스 $70,000,000 약 945억 원
2 후안 소토 NY 메츠 $51,000,000 약 688억 5,000만 원
3 잭 휠러 필라델피아 필리스 $42,000,000 약 567억 원
4 애런 저지 NY 양키스 $40,000,000 약 540억 원
5 알렉스 브레그먼 보스턴 레드삭스 $40,000,000 약 540억 원
6 제이콥 디그롬 텍사스 레인저스 $37,000,000 약 499억 5,000만 원
7 블레이크 스넬 LA 다저스 $36,400,000 약 491억 4,000만 원
8 게릿 콜 NY 양키스 $36,000,000 약 486억 원
9 마이크 트라웃 LA 에인절스 $35,541,667 약 479억 8,000만 원
10 앤서니 렌던 LA 에인절스 $35,000,000 약 472억 5,000만 원

📑 MLB 연금 제도 상세

MLB의 연금 제도는 세계적인 수준의 안정성과 혜택을 자랑합니다. 이 시스템은 선수들이 현역 시절 동안 일정 기간 이상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머무르면, 은퇴 후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연금 자격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단 43일 이상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머문 선수는 연금 수령 자격을 갖추게 되며, 서비스 타임이 길어질수록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최대 연금은 10년 근속 시점에서 적용됩니다.

연금 수령은 만 45세부터 조기 수령이 가능하지만, 금액이 일부 삭감되며, 만 62세부터는 전체 수령이 가능합니다. 연금은 매년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평균 1.8% 수준으로 인상됩니다.

💵 MLB 연금 수령액 예시 (USD & KRW)

근속 연수 연금 수령액 (USD) 연금 수령액 (KRW)
43일 $6,875 약 928만 원
1년 $27,500 약 3,712만 원
5년 $137,500 약 1억 8,562만 원
10년 $275,000 약 3억 7,125만 원

한국인 선수들의 연금 현황

선수 MLB 활동 기간 자격 연수 예상 연금 (USD) 예상 연금 (KRW)
박찬호 1994~2010 17년 $275,000 약 3억 7,125만 원
추신수 2005~2020 16년 $275,000 약 3억 7,125만 원
류현진 2013~2023 10년 $215,000~275,000 약 2억 9,025만 원 ~ 3억 7,125만 원

박찬호, 추신수, 류현진 선수 모두 MLB 연금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습니다. 이 제도는 선수의 은퇴 이후 삶에 실질적인 안전망이 되어주고 있으며, 현역 선수들에게도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합니다.

💼 선수 복지 제도

MLB 클럽하우스

MLB 선수들은 연봉과 연금 외에도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 특히, 선수들의 재정 안정, 정신 건강, 커리어 전환을 돕는 복지 프로그램은 세계적으로도 뛰어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모든 제도는 메이저리그 선수노조(MLBPA)와 리그 간의 협약을 통해 마련되었습니다.

1. 401(k) 퇴직연금 제도

MLB는 미국의 퇴직연금 제도인 401(k)를 활용하고 있으며, 선수들의 노후를 위해 별도로 매 시즌 최대 $70,000(한화 약 9,450만 원)까지 기여합니다. 선수 본인이 별도로 납입하지 않아도 이 금액은 자동 누적됩니다. 이 퇴직연금은 은퇴 시 일시금 혹은 월 단위로 수령이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자산을 축적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구단 이적이나 트레이드 여부에 관계없이 보호됩니다.

2. 정신 건강 및 웰빙 프로그램

MLB는 선수들의 정신 건강 유지를 위해 24시간 전문 심리상담 헬프라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불안장애, 우울증, 슬럼프 극복 등을 위한 개별 치료 세션도 제공됩니다. 전직 선수에게도 이 서비스는 유효하며, 팀별로 전담 스포츠 심리학자도 배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금연 클리닉, 수면 건강 관리, 중독 회복 프로그램 등도 제공되어 전인적인 복지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3. 교육 및 커리어 전환 지원

MLB는 선수들이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학 진학, 자격증 취득, 외국어 교육 등 모든 과정에 장학금 또는 수강료 전액을 지원합니다. 실제로 방송 해설위원, 코치, 구단 프런트, 에이전트 등으로 전직한 선수들이 이 프로그램의 수혜를 받았으며, 교육 상담부터 진로 코칭까지 종합적인 경력 관리가 가능합니다.

📌 복지 제도 요약표

복지 항목 주요 내용 적용 대상
401(k) 퇴직연금 연 최대 $70,000 자동 적립 현역 전원
정신 건강 프로그램 24시간 상담, 스포츠 심리 치료 현역 및 은퇴 선수
교육 지원 장학금, 커리어 전환 교육 은퇴 선수 중심

🏛️ 팀 및 리그 복지 시스템

메이저리그(MLB)는 선수 개인을 위한 복지뿐만 아니라, 팀 및 리그 차원에서도 광범위한 복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은퇴 후 어려움에 처한 선수들까지 지원하는 제도이며, 전 구단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B.A.T.(Baseball Assistance Team)’는 리그를 대표하는 공식 복지 기구로, 선수뿐만 아니라 코치, 심판, 스카우트 등 야구 관련 직종 종사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1. Baseball Assistance Team (B.A.T.)

B.A.T.는 1986년 설립된 MLB 공식 복지 프로그램입니다.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은퇴 선수들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금전적·생활적 지원을 제공하며, 자금은 MLB와 선수들의 기부로 운영됩니다.

  • 의료비 및 재활 치료비 보조
  • 주거비, 식료품비 등 생계비 지원
  • 장례 비용 및 위기 대응 기금 제공
  • 직업 교육, 컴퓨터 수업, 이중직업 준비 등 교육 장학금 지원

2. Prospect Promotion Incentive (PPI)

PPI 제도는 구단이 유망주를 조기 승격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입니다. 해당 유망주가 시즌 중 Rookie of the Year 수상이나 All-Star 선발 등 주요 성과를 거두면 구단은 보상으로 드래프트 픽 또는 국제 계약 한도 상향 혜택을 받습니다. 이는 팀의 장기적인 유망주 육성과 경쟁력 확보를 유도하며, 동시에 선수의 조기 성장 기회를 넓히는 역할을 합니다.

3. 구단별 복지 프로그램

각 MLB 구단은 자체적인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선수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뉴욕 메츠는 선수 가족을 위한 유급 출산휴가와 자녀 학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LA 다저스는 신인 선수 전원에게 재정 교육을 필수로 제공하고 있으며, 시애틀 매리너스는 지역 사회 봉사와 연계된 커뮤니티 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리그 및 팀 복지 요약표

프로그램명 내용 대상
B.A.T. 생계·의료비·교육비 지원 전·현직 선수 및 가족
PPI 제도 유망주 조기 승격 보상 MLB 구단
구단별 복지 가족 지원, 교육, 재정교육 등 구단 소속 선수 및 가족

✈️ 교통 및 이동 복지

MLB 교통편

MLB에서는 선수들의 컨디션 유지와 피로 최소화를 위해 체계적인 교통 및 이동 복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즌 중 수십 번의 원정 경기 이동이 이뤄지는 만큼, 이 복지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전세기 운영

MLB 전 구단은 팀 전용 전세기를 운영하며, 선수단, 코칭스태프, 장비팀 등 약 50명 이상이 함께 이동합니다. 일반 항공기와 달리 출발 시간 조율이 가능하고, 좌석 간 간격이 넓어 장시간 이동에도 부담이 적습니다.

2. 호텔 및 숙소 지원

원정 시에는 구단에서 전액 부담하는 고급 호텔에 숙박하며, 선수 개인의 신체 컨디션과 식습관에 따라 스위트룸이나 별도 객실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뉴욕 메츠와 같은 일부 구단은 계약서에 스위트룸 제공을 명시하기도 합니다.

3. 현지 교통 제공

공항에서 호텔, 호텔에서 야구장으로의 이동은 구단 전용버스 또는 고급 밴을 통해 이동합니다. 이 차량은 대부분 전담 기사와 보안 인력이 배정되어 안전하고 신속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4. 장비 및 개인 물품 운송

선수들이 사용하는 장비는 전문 물류업체가 책임지고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뉴욕 메츠는 A-1 First Class Moving and Storage와 계약하여 유니폼, 배트, 글러브, 트레이닝 기구 등 수십 개의 장비 박스를 안전하게 원정지로 운송합니다.

 5. 마이너리그 교통 개선

최근 단체 협약 개정으로 마이너리그 선수들의 교통 복지도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250마일 이상 이동 시 럭셔리 침대버스를 지원하며, 항공 이동 시 수하물 비용 보조와 공항 교통편이 함께 제공됩니다.

📌 교통 복지 요약

항목 내용 대상
전세기 운영 구단 전용기, 유연한 스케줄 MLB 전 구단
호텔 숙박 5성급 이상 호텔, 스위트룸 제공 원정 선수단
현지 교통 전용 버스 및 고급 밴, 보안 인력 배정 선수 및 스태프
장비 운송 계약 물류업체 통한 안전 운송 선수 전원
마이너리그 지원 침대버스, 수하물비, 공항 이동 포함 마이너리거

🍽️ 식단 및 영양 복지

MLB 선수 식사

MLB에서는 선수들의 체력 관리와 경기력 향상을 위해 고도로 체계화된 식단 및 영양 복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구단은 전담 셰프와 영양사를 고용하며, 맞춤형 식단과 회복식, 간식, 수분 보충까지 선수 개인의 필요에 맞게 조율합니다.

1. 전담 셰프와 퍼포먼스 영양사 운영

대표적으로 LA 다저스는 ‘퍼포먼스 셰프’ 타이론 홀(Tyrone Hall)을 포함한 전문 영양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수들의 혈액 검사 결과와 체성분 분석을 기반으로 식단을 설계합니다. 훈련량과 경기 스케줄에 따라 식단이 매일 조정됩니다.

2. 맞춤형 경기 전·후 식사 제공

경기 전에는 에너지 보충을 위한 고탄수·고단백 식사, 경기 후에는 회복을 돕는 항염증 식사(연어, 케일, 고구마 등)가 제공됩니다. 필요에 따라 유동식이나 쉐이크도 함께 제공되며, 경기력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다문화 맞춤 식단

다저스를 비롯한 대부분의 구단은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을 위해 문화권별 식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이정후 선수를 위한 한식,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 선수들을 위한 망구 아침식사, 대만식 죽, 일본식 도시락 등도 운영됩니다.

 4. 건강 간식 및 음료

클럽하우스와 라커룸에는 과일, 견과류, 단백질 바, 전해질 음료, 저당 스무디 등 건강 간식이 항상 구비되어 있습니다. 수분 유지와 혈당 조절, 피로 회복에 큰 도움을 주며, 경기 중간이나 훈련 도중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5. 개인 셰프 및 식사 배달 서비스 지원

일부 선수들은 개인 셰프를 고용하거나, ‘Elevated Eats’와 같은 고급 식사 배달 서비스를 이용해 개인 맞춤형 식사를 관리합니다. LA 다저스의 패트릭 베일리, 자이언츠의 로건 웹 선수도 이 서비스를 통해 식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식단 복지 요약표

항목 내용 대상
전담 셰프 운영 영양팀 포함, 경기력 중심 설계 전 선수
경기별 식사 고탄수·항염증 식단 구분 경기 당일
다문화 식단 국적별 전통 요리 제공 국제 선수
건강 간식 전해질 음료, 단백질바 상시 구비 클럽하우스 이용자
개인 셰프/배달식 Elevated Eats 등 활용 가능 프랜차이즈 선수 중심

❓ FAQ

Q1. MLB에서 연금을 받으려면 몇 년 이상 뛰어야 하나요?

A1.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단 43일 이상 머무르면 연금 수령 자격이 생깁니다. 10년 이상 근속 시에는 최대 연금(연 $275,000)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Q2. 박찬호, 추신수, 류현진 선수의 연금 수령액은 얼마인가요?

A2. 세 선수 모두 10년 이상 활동하여 만 62세부터 연간 약 3억 7,125만 원(USD 275,000)을 수령할 수 있는 자격을 갖췄습니다.

Q3. MLB 선수의 평균 연봉은 어느 정도인가요?

A3. 2025년 기준 MLB 선수의 평균 연봉은 약 $5,160,245로 한화 약 69억 6,630만 원에 달합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

Q4. 정신 건강 지원도 제공되나요?

A4. 네, MLB는 24시간 무료 심리상담, 스포츠 심리학자 배치, 중독 회복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신 건강 복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Q5. 교통 복지는 어느 수준인가요?

A5. 전세기 이동, 5성급 호텔 숙박, 장비 전용 운송, 공항 전용 교통 등 최고 수준의 복지가 제공되며, 마이너리그 선수에게도 침대버스와 항공지원이 이뤄집니다.

Q6. 식사는 어떻게 제공되나요?

A6. 경기 전후로 맞춤형 식단이 제공되며, 전담 셰프와 영양사가 상주합니다. 다문화 선수들을 위한 한식, 라틴식, 일식 등도 마련됩니다.

Q7. 은퇴 후 커리어를 위한 교육도 있나요?

A7. 네, MLB는 은퇴 후 선수들을 위해 대학 진학, 자격증 취득, 언론·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원합니다.

Q8. 경제적으로 어려운 은퇴 선수는 어떻게 지원받나요?

A8. ‘B.A.T.’ 프로그램을 통해 의료비, 주거비, 장례비, 생계비 등이 지원되며, 야구 관련 직종(코치, 스카우트, 심판 등) 경험자라면 누구든지 신청 가능합니다.